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4)
우당탕탕 정신과 Introduction 정신질환은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했다. 인간의 정신 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손상 등의 생물학적 이유로 생긴 정신질환에서부터 뚜렷한 뇌의 손상은 보이지 않지만 정신 기능의 어려움을 보이는(뇌 기능의 어려움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다양한 원인을 가진 정신질환까지. 정신질환을 다루는 정신의학Psychiatry 의 탄생과 발전은 뇌 또는 뇌 기능의 손상이 발생한 사람들이 사회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었으며, 어떻게 발견되고 어떻게 치료 받았는지와 직결된다. 이는 사회 문화와 과학기술의 발전과도 무관하지 않다. 오래된 정신질환의 역사 만큼이나 정신질환자를 돌보고 관리하는 법과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역사도 깊다. 그 모든 방법들의 목적, 즉 정신질환을 낫게 한다는 목적은 예나 지금이나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방법들은 오랜..
조현병 환자는 한번 약을 먹으면 계속해서 먹어야 할까? 조현병은 환청, 망상, 기이한 행동 및 사고, 음성증상(의욕, 사회성, 자기관리 등의 영역 기능 저하) 등이 주 증상인 정신질환이다. 전 인구의 1%가 앓고 있는 이 질환의 발생은 현재로서는 생물학적인 요인(유전, 뇌 신경계 구조 문제)이 심리적 요인보다는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래서 조현병의 치료는 무엇보다 약물치료, 항정신병약제로 불리는 antipsychotics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재발할 경우 뇌 기능의 저하(해부학적이기 보다는 기능적), 실제적 삶의 어려움(사회적, 직업적, 대인관계적)이 생겨 삶을 이어가는데 있어 심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약물치료로 증상이 사라지거나 완화되더라도 되도록이면 약을 오래 유지하는 것이 조현병 약물치료의 정석이다. 조현병의 약물치료는 급성기 이후 ..
책 |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교양으로 읽는 마약 세계사> by 오후 마약에 대한 교양서다. 인간 역사에서 언제부터 마약이 사용되었고, 어떤 마약들이 만들어지고 현존하는지, 마약을 현대 사회에서 어떤식으로 취급하는지에 대해서 다소 가볍게 기술했다. 마약의 종류나 그 기원만 하더라도 이야기할거리가 엄청나게 많다. 그걸 일일이 다루기보다는 제목 그대로 '교양으로 읽는' 정도로 마약에 대해서 얕고 넓게 이야기한다. 마약 카르텔이나 네델란드의 마약 정책에 대해서는 전혀 몰랐기 때문에 그 부분은 정말로 재미있게 봤었다. 책만 보면 아쉬울까봐 마약과 관련된 영화도 소개해놓은 것도 좋았다. 영화에 마약이 나오면 무슨 마약이 나오는가 알아맞추는 재미를 숙제같이 내준거 같은 느낌이었다. 책을 읽고 난 다음에도 관련된 영화들을 더 재미있게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마약관련 영화를 보기 전 한번..
역사 | 1938년, ECT의 탄생 (Ugo cerletti & Lucio Bini) 전기경련치료(Electro convulsive therapy, ECT)는 1938년 이탈리아의 정신과 의사 우고 체를레티(Ugo Cerletti, 1877 - 1963)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우울증을 가진 간질 환자가 경련을 하고 난 다음에는 우울증이 다소 호전되어 보인다는 관찰에 따라서 경련이 우울증을 비롯한 정신질환을 호전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1935년 체를레티는 로마 대학 신경정신과 클리닉의 과장, 교수로 일하면서 슬하의 젊은 의사들과 함께 당시 정신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물리적 치료들(인슐린 혼수 요법, 메트라졸 경련요법)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그 의사들 중에서 루치오 비니(Lucio Bini)는 경련을 일으키기 위한 전기자극을 사람에게도 적용해볼 수 있는지에 ..
역사 | 만프레드 사켈(Manfred Sakel), 인슐린 혼수 요법(Insulin coma therapy) 발견 만프레드 사켈(Mafred Joshua Sakel, 1900 -1957)은 1900년 갈리시아(당시 오스트리아 영토)의 독실한 유태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1925년 빈 대학을 졸업한 젊은 의사였던 샤켈은 오스트리아의 극심한 반유태주의 때문에 베를린으로 이주하였다. 당시 배우, 의사들 사이에 만연했던 모르핀 중독을 주로 치료하던 베를린 시 근교의 개인 클리닉인 리히테르펠트 요양원에서 의사로서의 일을 시작하였다. 사켈은 1920년대 말 경 저용량 인슐린 호르몬 투여(1922년 인슐린 호르몬이 발견되어서 여러 질환에 대한 대안적인 치료 방식으로 두루 사용되었을 것이다.)가 갑작스러운 모르핀 중단으로 유발된 구토, 설사 등의 증상에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인슐린 주사를 맞은 환자들 중 몇몇이 예기치 않게 혼수상..
의학 | 정신과의사였던 내가 전기경련치료(ECT)를 받다. ECT, 전기경련치료라고 부르는 이 치료법은 약물치료가 정신과영역에서 주된 치료가 되기 이전부터 정신과 질환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었다. 1930년 후반 이탈리아의 Ugo Cerletti가 발명한 뒤로, Metrazol 경련요법, 인슐린 혼수 요법 등을 대체하여 경련을 유빌하여 정신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전세계에 확고하게 자리잡았다. 하지만 전기자극이라는 단어가 주는 공포감, 경련을 일으킨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 환자에 대한 처벌목적으로 사용되던 몇몇 병원들의 사례들 때문에 ECT에 대한 거부감이 심해졌다. 라는 소설, 영화에서 ECT가 부정적으로 그려짐에 따라서 한때 미국에서는 ECT가 금지되기도 했었다. ps.psychiatryonline.org/doi/10.1176/appi.ps.72301 My ..
뉴스 | 변창흠 후보자 논란(한국일보), 과거는 세탁될 수 없는가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15&aid=0004471287 변창흠, '구의역 김군' 동료들 만남 제안했다가 거절당했다 2016년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로 숨진 김군을 향해 "걔(김군)만 조금 신경 썼었으면 됐다"고 말해 논란을 빚은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사진 )가 김군의 동료와 유가족 측에 만남을 제안 news.naver.com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장관후보로 지정된 후 막말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변창흠 후보자가 SH공사 사장 시절에 있었던 일들이 속속들이 올라왔었고, 이제는 그게 언론에서까지 다뤄지기 시작했다. 장관 후보자 검증이라는 이유로 후보자의 현재, 과거 이력들을 살..
역사 | 발륨(Valium, 성분명 diazepam)의 탄생 제약회사 호프만 라 로슈(Hoffmann-La Roche)의 레오 슈테른바흐(Leo H. Sternbach)가 리브리움(Librium, 성분명 Chlordiazepoxide)을 개발하여 대박을 쳤다.(1969년까지 미국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약이었다)mindnauts-erp.tistory.com/7역사 | 안정제 리브리움(librium, 성분명 Chlordiazepoxide)의 개발1950년대 후반 개발된 클로르디아제폭시드(Chlordiazepoxide)는 최초로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구조로 만들어진 항불안제이다. 이를 개발한 사람은 폴란드 태생의 레오 슈테른바흐(Leo H. Sternbach)다.mindnauts-erp.tistory.com리브리움의 아성을 무너뜨린 약은 역시 최초..
역사 | 안정제 리브리움(librium, 성분명 Chlordiazepoxide)의 개발 1950년대 후반 개발된 클로르디아제폭시드(Chlordiazepoxide)는 최초로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구조로 만들어진 항불안제이다. 이를 개발한 사람은 폴란드 태생의 레오 슈테른바흐(Leo H. Sternbach)다. 슈테른바흐는 1930년대 크라코브(Cracow)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의 일환으로 염료합성에 대해서 연구했다. 이후 취리히 스위스 연방기술 대학에서 루지츠카(1939년 노벨 화학상 수상) 연구실에서 일하다가 2차세계대전이 발발 하면서 미국으로 망명하여 뉴저지의 로슈(Hoffmann-La Roche)에서 화학자로 근무하였다. 1950년대 후반 안정제 밀타운(Miltown, 성분명 meprobamate)이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자 로슈 사는 슈테른바흐에게 새로운 안정제를 만들..
자료 | 1940-1950년대 정신병원에 수용된 고아들(Duplessis Orphans) 1993년, 1940-1950년대 캐나다 퀘벡 주 몬트리올의 고아원에서 자란 수백명의 사람들이 고아원에서 학대와 피해를 당하였다며 정부와 로마 카톨릭 교회에게 피해 보상을 요구하였다. 당시 몬트리올(몬트리올 한정은 아니었을 것이다)에서는 로마 카톨릭 교회가 소유한 고아원이 정부 보조금을 받고 정신병원으로 개조되었고, 고아원에 수용되어있던 아이들이 정신지체자(mentally retarded)로 분류가 되었다. 더이상 학생이 아니고 정신시설의 거주자로 취급받았기 때문에 받아야할 학교 교육도 받지 못하고 신체적, 정신적, 성적 학대를 당했다. 아마 당시에 정신병원에서 행해지던 치료(구속, 뇌절제술, 전기경련치료)와 새롭게 개발된 여러 정신약물들(소위 말하는 안정제)을 통해 통제당했을 것이다. 1940-1950..